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가제트병원

어깨관절

"어깨탈구 란?"

어깨 관절의 탈구를 막아주는 견갑골의 관절와의 경계부에 있는 관절순의 파열(방카르트 병변)로 인해서 나타나며
전방, 후방, 하방 불안정성으로 나뉩니다. 젊은층에서 외상으로 인해 발생되며 재발이 많습니다.

원인

  • 외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음 (운동선수, 스포츠 활동)
  • 외상으로 인해 발생되면 인대나 관절순 등의 손상되어 복원이 안되는 경우가 많음
  • 20대 이전에 어깨불안정성을 경험하면 지속적으로 탈구가 되는 경우가 많음

증상

  • 팔을 이용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무리하게 되면 팔이 아래로 축 쳐짐
  • 공을 던지는 자세를 취하면 팔이 빠지거나 불안한 느낌이 듬
  • 신경 손상시 마비증상이 나타남

치료

보존적 치료

초기 증상이나 불안정성 등의 상태가 심하지 않은 경우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를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 치료

일상생활에 지장 있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습관성, 만성적, 재발성 탈구의 경우 파열된 관절낭,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관절내시경 수술 시행합니다.

어깨탈구

방카르트병변 MRA

※ MRA검사에서 관절와순 파열이 명확히 관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방카르트 병변(관절경)

※ 재발성 탈구로 인해 어깨가 앞쪽으로 빠지면서 상완골두의 뒷편이 찍히게되는 과정에서 골결손이 생기는데 이를 힐삭스병변이라고 합니다. 힐삭스병변이 크다면 후방 관절막을 힐삭스 위로 덮어 봉합하는 렘플리사지 프로시져(Remplissage procedure)를 시행하게됩니다.

렘플리사지 프로시져(Remplissage procedure)

※ 방카르트 병변(Bankart lesion)은 전방 관절와순-인대 복합체의 파열을 의미하고, 힐삭스 병변(Hill-Sachs lesion)은 상완골두 부분에 골 결손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 어깨가 빠지는경우서 뼈끼리 부딪히면서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재발성 어깨 탈구를 방치하는 경우 젊은 나이에도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